질문

기성품 및 자작의 한계

by 최창석 posted Dec 13,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결론은 \'이거면 될 것같다\'로는  절대로
끝을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기성품은 변화가 없는 제품, 즉 만들어진 그대로이거나 계속 질이 떨어
지는 제품으로 기기 자체를 넘기고 받고 하는 바꿈질 용뿐이다.

그렇다보니 얼핏 소문이 좋다고 하면 값이 천정부지로 올라 감히 접근조차
어렵게 하는 경우가 많다. 결국 기성품은 몇  개 빼놓곤
고철덩어리로 인식되어 빈티지라 하며 겨우 그 명맥을 유지한다.

그러나, 직접 들어보면 누구나 느끼는 것이지만, 내가 원하는 소리가
아닌 경우가 허다하다. 아마 지금 당신의 집에 있는 기계도
아니올시다가 맞을 것이다. 아무리 비싸고 하이엔드라 명명해도 말이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 자작품이 어느 순간 인기를 모으기 시작했다.

자작품의 경우 약간의 전기적 소견이 있는 경우 금방 익히여 직접
만들어 보다 업으로 가는 자도 있구, 해당 부품만을 업으로 하는 자도
있구, 전문적으로 거래를 하는 교환 업자로 전개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자작을 단순히 취미를 넘어 환상에 빠지게 되면 정신병자가
되어 간다. 고철덩어리 하나를 위해 기꺼이 수십만원부터
수백만원까지 지불한다. 그리고 결과는 조금만 더 아주 조그만 더
하다보면 남은 것은 주위에 이상한 철과 부품들로 즐비해진다.

물론, 취미이니 공짜는 없는 것, 당현히 돈이 들어간다. 그래서
어느 정도의 출혈은 얼마든지 생기게 된다. 다만, 그 끝이 없다는
것이 문제다.

내가 어느 오됴가계에 갔더니. 자작품으로 천만원 상당의 시스템을
접한 적이 있다. 그 소리가 좋았을까 나빴을까. 현의 소리가 참 신
기할 정도로 좋았다. 해서 내가 가지고간 일반 cd를 틀어봤다.

좋았을까. 아니였을까. (복사cd와 일반cd는 근본적으로 질이 다르다.
혹, 오됴기기계를 살려거든 집안에 있는 일반cd(가요 등)으로 들어
봐야 한다. 비로소 기계의 성능을 금방 알 수 있다.)

자작의 경우 cable부터 저항 심지어 회로까지 다 바꿀 수 있는 잇점은
있으나 튜닝의 수준 또는 검증되지 아니한 주파수 특성 그리고
주관적 견해로 인해 일반적인 판단이 있을 수가 없는 제품이라는
공통점을 내 놓는 것외에는 성능 즉 음질의 향상하곤 너무도 다른
외관과 투입된 부품으로 판가름나는 웃지 못한 결과를 낳게 된다.

결국 우리가 지금 걷고 있는 오됴생활은 어찌보면 아무 쓸모도 없는
목표를 그냥 환상으로 달려가는 종교적 특성(어디까지나)이 있는 건 아닌가 싶다.

그냥 맹신하는 짓꺼리로 말이다.

제 아무리 좋은 제품이라도 직접 들어보면 이게 진짜 하이엔드의 소리
일까 싶을 정도로 아니올씨다가 많기 때문이다. 아무리 비싼 기계라도
원래의 악기소리와 사람의 목소리를 따라갈 수도 없거니와 지금까지

미사여구로 현혹한 평들과는 너무도 거리가 멀다는 것을 시간이 지나야
깨우치게 된다는 것이 둘 다 한계인 것이다.

결국 기성품이든 자작이든 바로 나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결론
즉 내가 바로 한계란 것을 말이다.